파이썬 함수

코딩 / / 2021. 8. 4. 12:00
data-ad-slot="4929651688" data-ad-format="rectangle" data-full-width-responsive="true">
data-ad-slot="7938619090" data-ad-format="rectangle" data-full-width-responsive="true">

파이썬에서 함수라는 것이 있습니다. 수학시간에만 있는 줄 알았는데 프로그래밍에도 있습니다. 함수 듣기만 해도 거북한 분들이 분명히 있을텐데요. 수학시간만큼 그렇게 복잡하지는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X값을 넣으면 Y가 나온다는 기본적인 개념만 알아도 충분할 것으로 보입니다.

 

 

 

 

파이썬 함수 print 

 

수학시간에 배운 함수의 개념과는 같지만 더 넓게 확장이 된 것으로 프로그래밍에서는 사용이 됩니다. 수학에서는 X값을 넣었을텐데 파이썬에서는 숫자 뿐만 아니라 행동 자체를 넣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파이썬에는 다양한 함수가 있습니다. 처음에는 이러한 것들을 만들기가 여간 쉬운일이 아닐겁니다. 그렇기에 기본적으로 내장 되어 있는 함수를 이용하면 됩니다. 

 

처음에 파이썬에서 배우는 함수가 print ( ) 아닐까 합니다. 출력을 한다는 뜻입니다. print를 예시로 보겠습니다. 처음에 print라는 함수를 적습니다. 여기서는 당연히 print 뿐만 아니라 다른 함수에 대한 이름을 넣으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소괄호를 적고 소괄호 안에 자신이 적을 인자를 넣으면 됩니다. 적을 인자를 흔히 재료라고 부릅니다. 

 

 

 

 

print()는 표준 출력 함수입니다. 자신이 업무를 하고 해당 값을 띄우고 싶을때에 print()를 이용하면 됩니다. 소괄호 안에는 숫자나 문자를 적을 수 있습니다. 문자로서 소괄호 안에 있는 내용을 출력하고 싶다면 따옴표를 넣어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print(1+2)를 하면 3이라는 결과값이 나옵니다. 그런데 여기에 1+2 자체를 문자의 형태로 나타내고 싶다면 따옴표는 넣어주면 됩니다. print('1+2')라고 적으면 값은 3이 나오지 않고 1+2 이라고 결과가 나옵니다.

 

print() 출력을 할때에 기본적으로 print() 하나당 한 줄의 결과값이 나오게 됩니다. 그런데 줄 바꿈을 하지 않고 붙여서 출력하고 싶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때에는 print('a', end='') end=''(작은따옴표 두개)를 넣으면 줄 바꿈 없이 출력이 됩니다. 그리고 줄을 추가적으로 넣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때에는 print('a\n')와 같이 \n을 넣어주면 됩니다. 출력되는 것은 역슬래시로 나올 것인데 입력을 할때에는 우리나라 키보드는 원 (\)을 눌러주어야 역슬래시로 나옵니다. 

 

 

파이썬 함수 input

 

내장 된 함수 중에 print()와 같이 자주 이용이 되는 것이 input()입니다. input의 소괄호 안에 숫자를 넣어도 문자로 받아들여집니다. 그렇기에 연산은 가능하지가 않습니다. 그렇다고 입력한 값을 숫자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형 변환을 통해서 숫자로 변환 시킬 수가 있습니다. 숫자는 크게 정수와 실수로 나뉩니다. 해당 값을 정수로 변환 할때에는 int()로 적어야하고, 실수로 변환 할 때에는 float()로 적어주어야 합니다.

 

 

댓글 및 공감은 큰 도움이 됩니다. :)

 

이 글을 읽은 분들이 필요한 다른 정보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