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ad-slot="4929651688" data-ad-format="rectangle" data-full-width-responsive="true">
data-ad-slot="7938619090" data-ad-format="rectangle" data-full-width-responsive="true">

파이썬은 두 가지로 명령이 가능합니다. 대화를 하는 것과 파일로 저장해 둔 것을 그대로 실행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파이썬과 대화를 하는 것이 Shell이고 파일을 저장해둔 상태에서 그대로 진행 시키는 것이 File 입니다. 두가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파이썬 쉘 Shell

 

파이썬 쉘은 컴퓨터와 대화하는 형식이라고 말했습니다. 웹사이트를 보면 로봇 채팅을 경험한 경우가 있을텐데요. 그런 경우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내가 어떤 것을 입력하면 그것을 바로 해결해서 답을 주는 경우입니다. 바로 해결해야할때 빠르게 해당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 쉘은 interative mode라고도 합니다. 즉 상호작용을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앞에서 대화의 형식으로 파이썬 쉘이 진행이 된다고 했으니 상호작용이 된다는 말과 같은 의미가 되겠습니다. 

 

그런데 파이썬 쉘의 경우에는 대화의 형식이라서 좋기는 하지만 휘발성이 있기 때문에 저장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무엇을 할때에 기록이 남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저의 경우에는 이 휘발성이 상당히 불편합니다. 파일의 코드를 저장 할 수 있는 것이 다음에 나오는 파이썬 파일입니다.

 

 

파이썬 파일 File

 

파이썬 파일은 말 그대로 파일을 저장하는 것입니다. 파일은 컴퓨터가 해야할 것을 순서대로 적어둠으로써 그것대로 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반복적인 작업을 할때에 유용하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반복적인 일을 해야하는 경우 일일이 직접 해야하는 것이 굉장히 시간 낭비가 될 수 있고 피곤할 것입니다. 그러한 것들을 파일의 형태로 저장해두고 실행시키면 됩니다.

 

 

 

 

파이썬에 입력하는 쉘과 파일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자신의 필요한 용도에 따라서 유용하게 활용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사실 위의 내용은 저 스스로 찾은 것이 아니라 유튜브 채널 "생활코딩"에서 언급한 것입니다. 저는 복습차원에서 이렇게 글을 적고 있습니다.

 

 

생활코딩 - YouTube

 

www.youtube.com

 

 

댓글 및 공감은 큰 도움이 됩니다. :)

 

이 글을 읽은 분들이 필요한 다른 정보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