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은 돈을 모으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물론 최근에 암호화폐나 주식 등으로 많은 돈을 번 분들이 있지만 대부분의 청년들은 쉽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청년들에게 장기간에 걸쳐서 종잣돈을 모을 수 있도록 정책을 내놓았습니다. 청년형 장기펀드에 대해서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청년형 장기펀드
정부가 청년들이 보다 종잣돈을 쉽게 모을 수 있도록 정책을 내놓았습니다. 펀드의 한 형태인 청년형 장기펀드 입니다. 매년 납입액의 40%까지 소득공제가 된다고 하니 일단 앞에 나오는 내용만 봐서는 넣지 않을 이유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내용은 지난달 7월에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추진 1주년을 맞이해서 발표한 내용 중의 일부입니다.
청년 뿐만 아니라 거의 온 국민이 다 알고 있을 정도로 현재의 주거비는 계속해서 올라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흔히 말해서 있는 사람이 더 많이 벌고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청년들이 높은 주거비로 인해서 고민을 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상황입니다. 여기에 정부는 주거안전, 자산형성, 교육부담 완화 등 3가지 측면을 내세워서 청년들이 현재보다는 더 좋게 미래를 대비 할 수 있도록 지원책을 마련한 것이라고 합니다.
청년형 장기펀드 조건
청년형 장기펀드 또한 다른 정책처럼 모든 청년이 가입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것과 비교해보면 많은 청년들이 가입할 수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총급여가 5천만원, 종합소득이 3,500만원 이하의 청년들이 가입이 가능합니다. 가입기간은 몇 달 정도로 짧게 하는 것이 아니라 명칭이 장기펀드인만큼 긴 기간을 납입해야 합니다. 기간은 3년에서 5년사이입니다. 총 한도는 600만원입니다.
예를 들어서 5년 동안 납입을 한다고 하겠습니다. 한도는 납입한도 최대치인 600만원으로 하겠습니다. 5년동안 600만원씩 납입을 하면 총 납입 금액은 3천만원입니다. 그리고 여기에 펀드 수익이 일정 부분 있을 것입니다. 거기다가 40% 소득공제는 1,200만원입니다.
나이 제한이 당연히 있습니다. 만 19세에서 34세의 연령에 한해서 입니다. 여기에 병역이행기간 6년이 최대로 추가인저잉 됩니다. 가입을 하고 나서 급여가 5천만원이 넘어가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총급여 8천만원 또는 종합소득금액 6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과세기간은 소득공제에서 제외고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가입을 하고 나서 3년 이내에 해지나 인출 및 양도 등을 하는 경우에는 감면세액 중에서 납입금액의 6% 가량이 추징됩니다.
소득공제 혜택 기간을 계속해서 열어두는 것이 아니라 2023년 연말까지 가입한 것에 한해서 소득공제 혜택이 적용이 됩니다.
청년내일 저축계과 청년희망적금
뿐만 아니라 저소득 청년과 청년들의 저축액에 대한 장려 정책도 내놓았습니다. 저소득 청년이 매달 1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같은 금액인 10만원을 같이 지원해주는 청년내일 저축계좌가 있습니다. 청년이 납입한 저축액에 저축장려금을 지원해주는 청년희망적금도 출시가 되었다고 합니다.
청년내일 저축계좌에 많은 금액을 넣으면 좋겠지만 한도는 월 10만원입니다. 납입금액을 1~3배 정부가 지원한다고 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은 3,600만원 한도 내에서 청년들이 넣은 금액에서 1년은 2%, 2년은 4%만큼 장려금을 더해준다고 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의 경우도 앞에서 말한 청년형 장기펀드와 마찬가지고 연 납입한도 600만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의 조건은 총급여가 3,600만원 또는 종합소득 2,400만원 이하의 청년에 한해서 입니다. 해당 소득공제 혜택의 적용 기간 또한 2022년 연말까지 가입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가입기간은 2년으로 생각해봤을때 2024년 연말까지 받는 이자소득에 대해서 적용이 됩니다.
그리고 여기에 병역의무이행자에게 제공되는 장병내일준비적금도 정부가 지원하고 있다고 합니다. 저축액의 1/3을 지원하고 금리 및 이자소득 비과세 등의 혜택을 제공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국군장병 분들에게 더 많은 혜택이 돌아가니 상당히 마음에 드는 정책입니다. 예를 들어서 매달 40만원씩 넣어서 원리금이 754만원이 되면 정부가 250만원 정도의 금액을 추가적으로 지원해서 1천만원의 목돈을 만들어서 제대하게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이 이제는 가입이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2023년 말까지 연장이 되었다고 합니다. 가입요건도 연 소득 3,600만원으로 낮추었습니다. 중소기업 취업 청년 임차보증금 대출도 2023년 말까지 연장했습니다.
댓글 및 공감은 큰 도움이 됩니다. :)
▼▼이 글을 읽은 분들이 필요한 다른 정보▼▼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한전 전기 누진세 실시간 조회 (0) | 2021.08.05 |
---|---|
백신접종 사전예약 10부제 일정 예약 방법 나이 (0) | 2021.08.05 |
원전 관련주 두산중공업 한전기술 (0) | 2021.06.08 |
SD바이오센서 공모주 청약 일정 전망 (0) | 2021.06.08 |
삼성머스트스팩 5호 공모주 청약 일정 (0) | 2021.06.08 |